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SG 지속가능한 기업을 위한 평가 : 경영의 의미와 중요성

신재생에너지 RPS

by 파티애니 2022. 11. 16. 15:26

본문

반응형
ESG경영의 의미와 중요성

ESG1

■ESG란

환경 Environmental,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mance를 정의하는 요소이며 비재무적인 경영으로 "지속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이다.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을 하며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한 이해관계들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가 잘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중 환경의 영향이 무엇보다 큰 편이다. 앞으로 기후의 변화를 알지 못하면 산업이나 경제분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ESG의 영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환경 E nvironmental

기후변화가 장기화 되면서 앞으로의 경제위기는 기후변화의 위기와 직결되어있다고 보고 있다.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로 가속화되고 있는 배출을 어떻게 줄여갈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 이 모든 환경은 경제산업과 직결되어있어 앞으로 온실가스를 어떻게 감축해 나가야 할지 고민하고 선언하는 기업들이 좋은 평가와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기업은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숫자로 구체적으로 탄소배출의 저감 한다는 걸 선언해야 할 것이고, NET-ZERO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RE100, EP100, EV100 등 새로운 제도가 환경규제와 위기가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기업 입장에서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 대기 및 수질오염
  • 환경법규 준수
  • 재생에너지 사용
  • 폐기물 관리

ESG2

사회 Social

협력사와의 관리가 중요하다. 공급망 관리를 위해 기업의 제품을  만드는데 전 과정의 영향 평가와 그 과정이 어떻게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얼마나  배출되는지 측정 관리를 해야 한다. 앞으로 글로벌 공급망 요구가 강화될 것이고, 친환경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눈에 보이지 않았던  제조업체 공급망까지 들여다보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대기업과 연결되어있는 중소, 중견기업 또한  ESG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 공헌
  • 공급망 관리
  • 근로자 안전
  • 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
  • 소비자 안전 및 보건
지배구조 Govermance

기업의 조직화하고 ESG를 전문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지속가능 보고서를 작성하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측정이 필요다. 그를 전담하는 부서를 만들어서 리스크에 대한 관리를 하는 게 중요하며, 또한 기업 내부에서 핵심지표를 작성하고 그지 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기업에서 ESG에 대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주주권리 보호
  • 이사회 다양성 및 구조
  • 감사제도
  • 뇌물 및 부패방지
  • 내부 고발자 제도
ESG 중요성

기업의 경영활동은 사회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사회와 조화를 통해 성장하고 연속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하며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한 이해관계들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

 

경제력 강화 활동, 동반성장, 친환경, 구산물 자원화 이런 것들을 통해 결국 지속 가능한 사회의 기본이 되며 더불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보고 그것들이 자연스럽게 성과로 축적이 되면 재무성과와 ESG 성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환경과 사회와 지배구조가 기업이 경영 활동할 때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 회사의 산업의 특성과 비즈니스 모텔과 핵심 영역을 통해 우선과 나중을 결정해보는 기본적인 방법론이 중요한다.

 

사회와 지배구조보다 환경 관련된 일이 가장 이슈화 되고 ESG에서도 가장 관심 있게 보는 것도 환경적인 이슈이다. 내가 구매하려는 그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ESG로 봉은 회사라고 알고 있으면 추가로 구매할 것이라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모든 기업이 환경파괴를 하지 않고 갑질을 하지 않기 위한 불합리를 해소하는 요소 이기도하다. ESG평가를 잘 받으면 그 기업이 지속가능성이 높다는 것이고, 임직원들은 회사가 잘되겠구나, 투자자들은 투자할 것이고, 구직자들은 그 회사에 가고 싶다, 소비자들은 그제품을 구매할 것이다.

 

결국 ESG란 비재무적이 모든 업무를 말하고 있지만 ESG의 영향으로 투자자를 모으고 인재를 모으고, 소비자의 마음을 사게 되어 이모 든 것이 금전적인 성과와 연결되는 것으로 지속가능성 있는 기업으로 평가받게 될 것이다.

 

대응전략

이사회의 관리 감독

리스크 관리

인재 고용 및 교육개발

대응 가능한 대체 전략 검토

기업 핵심 목표 구체적 설정

NET ZERO 전환

탄소중립

RE100 

투명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시스템 구축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